토요일은 점심시간 없음 / 일요일,공휴일 휴진
02-939-2075
‘머리가 띵’… 잦은 편두통의 원인은 거북목과 흉쇄유돌근 [핏테크]
우리 몸의 건강 지지대 ‘흉쇄유돌근’흉쇄유돌근은 귀 뒤쪽에서 쇄골로 비스듬하게 이어지는 목 근육이다. 현재 ‘목 빗근’이라는 명칭으로 통용된다. 머리를 한쪽으로 기울이거나 목을 앞으로 당기는 동작과 같이 다양한 움직임에 관여한다. 결과적으로 경추의 안정성을 높여주고 목을 가볍게 만든다. 담당하는 역할이 많은 근육이기에 목 중에서도 전신건강을 위한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한다. 혈관과 신경 등 중요한 조직들도 주변부에 분포한다. 흉쇄유돌근에 문제가 생기면 근골격계 질환으로 그치지 않는 이유이다.
흉쇄유돌근이 다치면 직접적인 손상 부위에 그치지 않고 신체의 다양한 영역에 통증을 방사한다. 미국 의학전문지 메디컬뉴스투데이(MNT)는 “흉쇄유돌근이 손상되면 현기증, 메스꺼움, 편두통과 같은 증상을 유발한다”고 밝혔다. 흉쇄유돌근이 경직되고 긴장될수록 목, 어깨, 뺨, 턱, 눈썹, 이마 등 다양한 부위에 둔탁한 통증을 유발한다. 대게 혈관 확장, 스트레스, 유전적 요인과 겹치며 편두통으로 이어진다. 약물 복용, 식이 조절 등이 치료법으로 꼽히지만, 자세 교정을 통해 경직된 목 근육을 풀어주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거북목의 주된 원인은 온종일 붙들고 있는 스마트폰과 퇴근 직전까지 바라보는 컴퓨터이다.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는 자신도 모르게 목을 앞으로 쭉 빼는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바르지 못한 자세가 지속되면 목 근육이 긴장 상태를 유지하면서 흉쇄유돌근이 뻣뻣해진다. 결국 주변에 위치한 혈관들이 짓눌리며 편두통과 같은 신경성 통증을 가져오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선 평소 꾸준한 스트레칭과 운동으로 근육을 이완시키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손을 이용한 마사지도 가능하다. 고개를 한쪽 방향으로 돌려서 흉쇄유돌근을 돌출시킨 후, 엄지와 검지를 이용해 압박하면 된다.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 추천하는 동작으로, 통증이 있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눌러주는 것이 중요하다.